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서울과학교육
Vol.33 (발행일 2024년 7월)
Vol.32 (발행일 2024년 1월)
Vol.31 (발행일 2023년 7월)
Vol.30 (발행일 2023년 1월)
Vol.29 (발행일 2022년 7월)
Vol.28 (발행일 2022년 1월)
Vol.27 (발행일 2021년 7월)
Vol.26 (발행일 2021년 1월)
Vol.25 (발행일 2020년 7월)
Vol.24 (발행일 2020년 1월)
Vol.23 (발행일 2019년 7월)
Vol.22 (발행일 2019년 1월)
Vol.21 (발행일 2018년 7월)
Vol.20 (발행일 2018년 1월)
Vol.19 (발행일 2017년 7월)
Vol.18 (발행일 2017년 1월)
Vol.17 (발행일 2016년 7월)
Vol.16 (발행일 2016년 1월)
Vol.15 (발행일 2015년 7월)
Vol.14 (발행일 2015년 1월)
Vol.13 (발행일 2014년 7월)
SPECIAL MESSAGE
SPECIAL THEME
EDUCATION ISSUE
SCIENCE PEOPLE
SCIENCE INSIDE
SCIENCE LIFE
SSEI NEWS
전체메뉴 닫기
Previous
Next
SCIENCE PEOPLE Vol.33
연준우 학생
잠실중학교 1학년
김다은 학생
서울미술고등학교 1학년
과학 선생님들
나는 과학 교사입니다
강신철 외계공작소 기획자
과학공연 전문 극단 ‘외계공작소’
SPECIAL MESSAGE - 33호
오성환 원장
서울특별시교육청융합과학교육원 원장
과학기술은 우리의 희망입니다
융합과학교육기관으로서 본질 강화
미래사회 이끌어갈 융합형 인재 양성할 것
SCIENCE EDUCATION ISSUE Vol.33
세계시민, 공존형 민주시민, 생태시민 역량 함양하는 국…
→
첨단과학기술 활용 온라인 과학탐구 플랫폼, ‘지능형 과…
→
수업과 연계된 서·논술형 평가의 실천 돌아보기
→
SCIENCE INSIDE Vol.33
[서울시과학우수학교]
오금고등학교
오금고등학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생 맞춤 교육을 실시하여 미래인재에게 꼭 필요한 창의성, 인성, 잠재력과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과정들을 개편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지난 2023년 과학교육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특히 방과후 자율적 과학탐구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1. 2학년 대상으로 매주 2회(월, 수) 실험실을 개방하고 물리, 화학, 생명과학을 주제로 실험을 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다양한 과학탐구 역량 수준과 요구사항에 대해 맞춤 지원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생들이…
SCIENCE INSIDE Vol.33
[과학관련단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이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1987년 한국전산원으로 설립된 이후, 한국정보화진흥원을 거쳐 현재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발전했다. NIA는 대한민국의 정보화와 디지털 혁신을 이끌어 왔으며 ‘초고속국가정보통신망 개통’, ‘민원24’와 같은 전자정부 사업, ‘공공데이터 개방’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특히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공적 마스크 앱’과 ‘백신사전예약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중요한…
SCIENCE INSIDE Vol.33
[생생 과학수업 노하우]
실험탐구 프로젝트 통해 배우는 과학의 개념과 탐구 과정
과학교육에서 실험탐구는 이론적인 개념을 실제로 경험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험을 통해 학생들은 추상적인 개념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관찰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이를 통해 과학적 사고와 탐구 능력을 발전시키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미래에 과학적인 직업이나 전공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최근에는 과학 기자재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의 과학 실험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무선 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이 쉬워져 실험 결과를 단순히 관찰하는데 그치는…
SCIENCE INSIDE Vol.33
[생생 과학수업 노하우]
학생 참여형 과학융합(STEAM)수업의 실제
우리 선생님들 대부분은 수업 속에서 학생과 함께 호흡하고 그들의 발달을 도와 성취감을 느끼게 하고 이해와 성장을 돕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수업을 이렇게 해내기는 정말 어렵다. 특히 과학은 수업 시간에 다루어야 하는 성취 기준과 실험이 너무 많아 소위 ‘진도 나가기’ 바쁜 교과가 아닌가? 반드시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절히 해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Previous
Next
SCIENCE LIFE Vol.33
우주잔해물 능동제어위성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구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는 1957년 10월 4일에 발사되었으며 이후 전세계가 쏘아올린 우주물체는 미국의 우주물체를 감시하는 기관(CSpOC)의 우주물체 분석…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인간의 뼈에서 영감을 받다
인간 뼈의 70%를 구성하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p)는 아파타이트(Apatite)라는 인산염(PO43-) 광물의 한 종류로, 생물학적으로 발생하는 …
SCIENCE NEWS Vol.33
SSEI Photo News
과학은 더 이상 어려운 분야가 아닙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융합과학교육원은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지식 저변 확대를 위해, 학생·일반인 모두에게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과학을 만들기 위해 …
NOTICE
06.30
1차 수정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06.20
데이터 입력 준비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