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EDUCATION ISSUE
[SCIENCE EDUCATION ISSUE Vol.34] 과학, 수행평가로 ‘깊이 있는 학습’에 도전하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올바른 학습의 상태를 뜻하는 ‘깊이 있는 학습 ’ 은 어떤 배움을 의미할까?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서는 교과 간 연계와 통합, 학생의 삶과 연계된 학습, 학습에 대한 성찰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교과 지식을 어려운 수준까지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과 연결하여 내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의 배움을 경험과 연결하려면, 배움의 내용이 학생의 삶과 맞닿아 있어야 하고, 배움의 과정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SCIENCE EDUCATION ISSUE Vol.34] 초등 영재 표준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향후 과제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다섯 번의 종합계획을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23∼2027)’은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 발굴과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학령 인구가 줄어들고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면서 영재교육 대상자는 감소하고 있다. 반면 영재교육 분야(영역)는 수학과 과학 영역 중심에서 예체능 분야를 포함하여 인문사회 영역까지 계속 다양해지고 있다.
[SCIENCE EDUCATION ISSUE Vol.34]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과학과 최소한의 성취기준
“하루도 빠짐없이 즐겁게 수영을 다니던 둘째 아이들의 수영 발표회가 있던 날 아이들 중 폼도 엉성하고 느린 아이가 바로 둘째 내 아이 저렇게 눈에 띄게 못하면 그만두고 싶어 했을 텐데 발표회 마치고 돌아오는 길 오히려 자기와 친구의 수영 솜씨를 자랑했다더라.” - 박혜란,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2013, P.73) 중에서 아이들 마음의 구김살은 아이들이 만드는 게 아니라는 말이 묵직하게 다가온다. 우리는 얼마나 아이의 작은 몸짓, 작은 소리에 귀를 기울였을까?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