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EDUCATION ISSUE
[SCIENCE EDUCATION ISSUE Vol.31] 특별한 학생을 위한 보편적 과학 수업1) :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필자는 20년째 대학에서 물리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물리교육 연구자이자 과학교육자이다. 연구자로서 나의 중심 질문은 늘 ‘물리를 어떻게 가르칠까’였다. 그런데 어느 날 시각장애학생에게 빛을 가르쳐야하는 문제를 만나게 되었다. 앞을 볼 수 없는 학생에게는 물리를 어떻게 가르쳐야할까?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에게 물리를 가르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아래 내용은 나 스스로에게 던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따라가는 과정이다.
[SCIENCE EDUCATION ISSUE Vol.31] 서울 과학교육 위해 불철주야 작동하고 있는 첨단 기자재
서울 과학교육을 책임지는 중요한 기관에 걸맞게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이하 ‘과학전시관’)에는 다양한 첨단 과학 기자재들이 많이 있다. 나는 우연한 기회에 주사 전자 현미경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접하게되어 현재까지 이 두 기자재를 활용한 학생 교육과 교원 연수에 참여하고 있다. 이 두 기자재가 과학전시관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SCIENCE EDUCATION ISSUE Vol.31]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주요 내용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미래 첨단과학과 과학기술 혁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과 창의성 함양을 주안점에 두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단원 구성을 조정하거나 내용 요소를 중학교로 이동하고, 학습량 경감을 위해 내용 요소를 통합, 삭제하였다. 중학교의 경우, 디지털 소양 및 생태 전환 교육을 강화하여 과학의 유용성을 강조하였으며, 세포, 주기율표 등 일부 내용 요소는 개념의 위계를 고려하여 보완하였다.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과학과 사회'를 비롯한 영역을 신설하여 일부 내용 요소를 기후변화, 감염병, 진로 등과 연계하여 미래 융복합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물/화/생/지 분야별 분절적 학습을 지양한 '통합과학'의 통합적 이해를 강조하여 공통과목을 4개로 편성하였다.

검색